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7

문제중심학습(PBL) 절차, 문제 제시, 문제 분석 및 해결안 도출, 학습 결과 문제중심학습 (Problem Based Learning: PBL) 절차, 문제 제시, 문제 분석 및 해결안 도출, 학습 결과과 평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문제중심학습 (Problem Based Learning: PBL) 의 절차 문제중심학습(PBL)의 형태와 절차는 적용하는 대상과 기관의 특성, 학습목표, 교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문제중심학습 활동은 문제 제시, 문제 분석 및 학습과제 도출, 문제해결을 위한 자료 수집, 문제 재확인 및 해결안 도출, 문제해결안 발표, 학습 결과 정리 및 평가의 여섯 단계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1. 문제 제시 문제중심학습의 첫 번째 단계는 해결해야 할 문제를 제시하는 것입니다. 교수자는 수업에 사용할 문제를 미리 준비해 수업시간에 학습자에게 제.. 2024. 1. 31.
문제중심학습(PBL) 정의 및 문제의 역할, 문제중심학습 특성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 정의 및 문제의 역할, 문제중심학습의 주요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문제중심학습 (Problem Based Learning: PBL) 이란 문제중심학습(PBL)은 문제를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교수, 학습 방법입니다. 전통적인 수업에서는 개념이나 원리를 학습한 후에 문제가 제시됩니다. 다시 말해, 전통적인 수업에서는 학습할 개념이나 원리를 소개한 다음,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제, 연습문제가 주어집니다. 문제중심학습에서 문제의 역할 문제중심학습에서는 학습을 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제가 제시됩니다. 즉, 학습이 시작되는 출발점에서 문제가 제시되는 것입니다. 또한 전통적인 수업에서 다루어지는 .. 2024. 1. 29.
서비스러닝 교수법, 서비스러닝 핵심 원리, 서비스러닝 유형과 교육 효과 대표적인 봉사수업 유형 중 하나인 서비스러닝 교수법, 서비스러닝 핵심 원리, 서비스러닝 유형, 서비스러닝 교육 효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비스러닝 교수법 서비스러닝( (Service Llearning )은 학생들이 경험학습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요구되는 현황들을 이해하고 성찰의 과정을 통해 학습의 결과를 이끌어내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교수법입니다. 즉, 학생들의 높은 학습 효과와 자질 계발을 위하여 지역사회에서 요구되는 문제들에 학생들이 전문성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체험교육 방법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러닝은 학생들을 위한 사회적 책임감이나 지역사회 시민의식을 교육하고 고취시키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기반을 제공해 줍니다.. 이 교수법은 두 가지 축인 봉사(service)와 학습(le.. 2024. 1. 28.
스토리텔링 이해와 특징, 스토리텔링 유형,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콘텐츠가 대세인 시대입니다. 현대 디지털 미디어와 함께 문화콘텐츠 분야가 다각도에서 발전을 거듭하며 주요 문화산업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문화콘텐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의 중요성 또한 부각되어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요소인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해와 특징, 유형, 그리고 문화콘텐츠로서의 스토리텔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토리텔링 이해 최근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이라는 용어가 사회 각 분야에서 자연스럽게 쓰이고 있습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브랜드 스토리텔링,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 웹 뮤지엄 스토리텔링 등 다양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스토리텔링은 ‘스토리(story)’ 와 ‘텔링(telling)’의 합성어로서 화술, 텍스트, 작술법을 아우르는 개념.. 2024. 1. 27.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